Tuesday, April 27, 2010

OECD 2050년 국가별 인구추계

최근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내놓은 각국별 인구추계에 따르면 한국은 2050년 총인구는 4433만 6997명이다. 이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34.4%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더욱이 80세 이상은 12.6%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2050년 한국의 20~49세 인구는 전체 인구의 30%에 머물 것으로 예상됐다.
평소같으면 위와 비슷한 통계지표를 언급한 신문 기사나 연구자료는 한 번 읽고 지나쳤다. 하지만 두 개의 숫자가 머리 속에서 잊혀지지 않는다. 2050년 그리고 65세. 2010년 내 나이가 25살이므로 앞으로 40년 뒤인 2050년이 되면 바로 전체 인구의 34.4%에 달하는 65세이상에 일조하기 때문이다.


위 그래프는 OECD 통계자료에서 가져왔다. 파란색으로 표시된 2000년도와 흰색으로 표시된 2050년도의 인구밀도 피라미드를 비교해보면 남, 여 모두 거의 반대가 되는걸 알 수 있다. 즉, 2050년에는 1950-60년도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가 85세 이상의 초고령층을 차지하고 1970-80년도에 태어난 주니어 베이비붐 세대가 65세 이상의 고령층에 진입한다. 반면에 주니어 베비비붐 세대들의 저출산의 결과로 영유아 및 청년층이 매우 얇게 형성된다.

인구통계에 따른 구조적 문제로 인해 개인적으로는 65세 이상이 되어도 일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에 만족한다. 하지만 국가를 운영하는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새로운 동력이 되는 청년층이 얇다는 것이 심각한 문제로 받아 들여진다.

전 세계적으로 저출산과 고령화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복지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과거에 비해 복잡하게 변화된 환경과 사회문화적 사고들이 단편적인 복지정책으로 극복되기는 역부족이다. 복지정책들이 저출산과 고령화의 속도를 늦출 수 있지만, 근본적인 사회현상을 바꿀 수는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변화를 받아들이고 그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국가 운영에 있어서도 전략적인 변화를 준비해야 한다.

2050년 인구통계 추정치를 기반으로 고령 고객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 및 상품 개발과 소수의 유아층에 적합한 새로운 교육 시스템이 도입되야 한다. 한편, 국력 유지를 위한 인구수 변동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재외동포를 비롯한 외국인의 유입을 장려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인구분포도는 사회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적 요소라 할 수 있다. 하드웨어가 40년간 변화하는 동안 법률, 정치, 경제, 그리고 복지 등의 사회 시스템인 소프트웨어적 요소도 변화해야 한다. 그러므로 개인, 조직, 기업, 사회, 국가, 그리고 지구촌 세계가 앞으로 40년을 어떻게 대처하고 준비했는지는 굉장히 중요하다.


[관련글]
120살까지의 인생설계
[XLS] OECD population pyramids in 2000 and 2050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