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wikinomics.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wikinomics. Show all posts

Monday, June 28, 2010

디지털 네이티브, 반드시 이해해야 할 세대

지난 26일 2010 남아공 월드컵 16강에서 우루과이에 맞서 대한민국의 승리를 염원하기 위해 온 가족이 한 지붕아래 모였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우리 가족을 포함해 삼촌, 고모, 사촌 동생들의 열띤 응원에도 불구하고 안타깝게 16강에서 탈락하게 되었다.
16강 탈락에 아쉬워하면서 한편으로 경기를 응원하는 동안 사촌 동생들의 특별한 행동이 눈에 뛰었다. 경기 중 골이 터지거나 주심의 석연찮은 판단이 내려질 때마다 사촌 동생들의 환호와 탄성을 지르며 동시에 휴대폰으로 친구들과 연신 문자를 주고 받았다. 그 모습이 얼마나 열정적이였던지 마치 자신의 환희와 슬픔의 페로몬을 휴대폰을 이용해서 동료들과 교환하면서 짜릿함을 느끼는 것처럼 보였다. 친구들과의 릴레이 문자는 경기 후에도 아쉬움을 달랠 수 없었던지 계속 이어졌다. 이 모습을 지켜본 고모는, "사내 아이들이 머 그렇게 할 말이 많은지 식사 중이거나 이동 중에도 저렇게 매일 문자를 보낸다." 라며 한 숨을 쉬셨다.


고모의 한 숨썩인 이야기를 듣는 순간 돈 탭스콧의 <디지털 네이티브>가 떠올랐다. 베이비붐 세대의 막차에 올라탄 1960년대생 고모가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1990년대생 사촌 동생들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대한민국이 정보화시대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너무나 다른 성향을 보이는 두 세대의 간극을 연결하고 서로의 문화로부터 장점을 교류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디지털 네이티브>를 읽으면서, 과연 나는 디지털 네이티브인지 반문했다.
1986년생으로 어릴 적부터 현대컴보이-세가새턴-PS1-PS2로 이어지던 비디오 게임기의 발전 역사를 함께 했다. 그리고 1999년 중학교 1학년때 처음으로 개인 핸드폰을 장만했으며, 비록 집안 식구 중에 컴퓨터에 대해 아는 사람은 전혀 없었지만 어머니의 선견지명으로 내 방에는 386 컴퓨터가 있었다. 현재는 트위터와 페이스북이 없다면 단기유학을 가서 만난 유럽친구들과 어떻게 소통을 할지 막막함이 앞서고 구글이 망해 G메일에 등록된 지인들의 연락처와 구글 캘린더에 있는 향후 계획표가 몽땅 날라갈 것을 생각하면 아찔할 정도다.


돈 탭스콧은 <디지털 네이티브>에서 넷세대의 여덟 가지 기준을 언급했다.
  1. 넷세대는 그들이 하는 모든 일에서 '자유'를 원한다. 여기서 자유는 선택의 자유로부터 표현의 자유까지 다양하다.
  2. 넷세대는 맞춤화 하고 개인화 하는 것을 사랑한다.
  3. 넷세대는 새로운 감시자다.
  4. 넷세대는 무엇을 사고, 어디서 일할지 결정할 때 기업의 성실성과 정직함을 중요하게 여긴다.
  5. 넷세대는 일, 교육, 사회생활에서 엔터테인먼트와 놀이를 원한다.
  6. 넷세대는 협업과 관계를 중시한다.
  7. 넷세대는 속도를 요구한다.
  8. 넷세대는 혁신을 주도한다.

이처럼 넷세대는 기존의 세대와는 너무나 다른 모습을 보인다. 보다 창의적이고 자발적이며 사회화를 빨리 시작하는 넷세대들의 모습에 한편으로는 비판적인 시각도 많다. 그 대표적인 예로 바우어라인 교수는 <가장 멍청한 세대>에서 "30세 미만은 아무도 믿지 말라."는 충고를 했다.
하지만 넷세대를 둘러싼 비판은 기원전 2000년도 수메르인의 성형문자 판으로부터 내려온 차세대를 비판하는 기성세대의 목소리를 닮아서는 안된다. 그 이유는 넷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간극은 과거 어떤 세대의 간극보다 기술적 격차가 심하기 때문이다.


동시에 100명 이상과 소통할 수 있고 사회적 이슈가 발생하면 수 십분내에 1000명 이상의 사람을 집단화하거나 필요한 정보는 언제 어디서든지 공짜로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당연하게 받아들인 넷세대는 과거의 어떤 세대도 성장기에 갖지 못했던 강한 도구 '정보 기술'을 신체의 일부분처럼 사용한다.

<디지털 네이티브>에서는 넷세대의 일상과 뇌구조로부터 발견한 이들의 특징들을 교육, 기업, 소비, 가족, 민주주의에 적용하면서 각 분야의 기성 전문가들에게 적절한 조언을 전한다. 뿐만 아니라 넷세대들에게도 무분별한 사생활 공개 등의 악영향에 대해 충고한다. 돈 탭스콧이 말하는 넷세대를 위한 7가지 지침 중 몇가지를 이곳에 옮긴다.
  • 직장에서 인내심을 가져라
  • 가족끼리 저녁식사를 같이 하라
  • 경험을 무시하지 말라
  • '원칙이 있는 중요한 삶'을 살도록 노력하라
  • 포기하지 말라

<디지털 네이티브>에서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넷세대를 연구했지만 많은 사례가 캐나다와 미국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했다. 반면 약 6년전에 이미 싸이월드 일촌 파도타기, 다음 까페, 네이버 지식인 등의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디지털화를 시작한 대한민국에 대한 사례가 거의 없었다. <디지털 네이티브>에서는 인구통계학에 기반해서 베이비붐 세대와 넷세대를 구별했지만 이는 대한민국에는 잘 맞지 않는것 같다.

단기간에 민주화와 자유주의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은 초고속 국가 성장 모델 속에서 성장한 베이비붐 세대와 386세대의 경우 정보 기술 습득 및 활용의 속도가 다른 나라의 기성세대보다 훨씬 빠르다.
한 예로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연동해서 온라인 원격진료 서비스를 시작한 송양주씨(@songyangju), 은퇴 후 귀농해서 포도와 복숭아 등 과수원 재배를 하면서 트위터로 온라인 판매 하시는 석종기씨(@mountpeach), 그리고 과거 대한민국 벤처 1세대로 왕성한 활동을 하고 현재는 카이스트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온라인을 통해 기업호민관 활동을 하는 이민화교수(@minhwalee) 등 자신의 경험과 지혜를 소셜 네트워킹에 접목하여 대한민국 넷세대를 위해 좋은 역할모델이 되어주는 기성세대들이 많이 존재한다.


물리학에서 말하는 복잡계에서는 다양성이 풍부할수록 시스템의 성장가능성 및 안정성이 커진다고 한다. 대한민국은 한 국가에 전혀 다른 사회문화 아래에서 성장한 여러 세대가 존재한다. 이들의 다양성이 협업과 공유의 가치를 통해 서로가 상생할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서는 세대간의 다름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문화가 선행되야 한다.

Monday, January 18, 2010

The Age of Digital Warring States

Using the Prezi, I summarized about what I want to do.

Just click within the screen and advance to the next slide.
Also, you can understand it better with my speech. Here is my speech presented at LanguageCast MultiLingua on 22Jan.





If you want to listen other's speech at LC MultiLingua on 22 Jan, please click here.

[관련글] Prezi를 이용한 발표자료 :History of Behavioral Economics

Thursday, January 07, 2010

정보 습득 기관의 다양화

학창시절에는 눈으로 책을 읽고 귀로는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손으로는 문제를 풀었다. 이처럼 우리 몸의 여러 감각 기관을 활용해서 정보를 습득했다. 하지만 학교를 졸업하면서 우리는 시각에만 편중해서 정보를 습득하는 경향을 보인다.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지만, 수요와 공급의 측면에서 보면 단연 영상 매체 및 책을 통한 정보의 공급량이 많다는 이유를 들 수 있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으로 이러한 모습은 앞으로 많이 바뀌지 않을까 기대한다. 이러한 변화를 유발하는 기술로는 Podcast가 있다. Poscast는 간단하게 말하면 음원파일에 Feed를 부여해서 원하는 사람은 RSS 리더를 통해 정기적으로 구독이 가능한 형태의 파일이다. 디제라티(Digerati, 디지털과 리터라티의 합성어로 남들보다 빠르게 인터넷상에 구축된 도구를 이용하는 사람을 뜻한다)들은 이미 Podcast를 이용해서 자신의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즉, 사람들은 Podcast를 이용해서 청각을 이용해 정보를 습득하는 방법을 알게되었다. 물론 TV가 발명되기전에 라디오가 정보 전달의 일등공신이였지만, Podcast는 소비자 기호에 따른 선택적인 청취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라디오와 차별화된다.


이처럼 정보 습득 기관이 다양화되면서 이를 활용한 발빠른 움직임이 주목된다. '투어캐스트'에서는 음원형태의 관광가이드 정보를 제공한다. 쉽게 말해서 르부르박물관의 오디오 가이드 서비스를 여행 서비스에 접목시켰다고 볼 수 있다.
투어케스트는 프랑스 파리, 이탈리아 피렌체 등 세계 약 30개 나라의 가이드를 음원 파일로 판매하는 것 외에도, mp3 가이드에서 설명하고 있는 건물 및 관광지를 표시한 지도도 공급하고 있다.

현재 mp3 가이드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곳은 투어케스트 외에도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운영하는 '50 Walks of a Lifetime'와 로딩고, 워토크투어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일보와 비지니스앤TV의 공동 프로젝트 '워킹토킹'에서 우리나라의 명소에 대한 mp3 가이드 파일을 제공한다.


과거에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론리 플랜'을 들고 다녔다면, 앞으로는 귀 한쪽에 이어폰을 꼽고 mp3 가이드를 청취하며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Sunday, October 11, 2009

TOEFLtv on YouTube

Following the definition of wikipedia, the 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or TOEFL, pronounced "toe-full") evaluates the ability of an individual to use and understand English in an academic setting. It sometimes is an admission requirement for non-native English speakers at many English-speaking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TOEFL test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Educational Testing Service (ETS) and is administered worldwide.

That's why so many students who would like to go aboard for studying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try to get high score of TOEFL. These day, I'm also considering about taking the test because of same reason. I happened to find that ETS is launching TOEFLtv on YouTube. Here is a piece of cake.


Everyone can share their know-how of learning English through TOEFLtv. Besides, I think it's really good what you can listen English with various foreign intonations. It helps you experience a meeting with world-wide business partners.

Friday, September 25, 2009

Embed Google Map

As one method of embedding creative thinking on your blog, there is a Google Maps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Google created the Google Maps API to allow developers to integrate Google Maps into their websites with their own data points.

For example, Stephane MOT embeded his own map on his blog, Seoul Village to introduce some locations. This map is kept updating.

Here is his map.

View Seoul Village in a larger map

Thursday, August 27, 2009

Embed Creative Thinking

When the google opened the google earth service, people were stunned by enabling to see the earth on God's view. Furthermore, people go crazy as the google share the source of the map for FREE.

From now on, there are many variation of the google earth customized each one's needs. For example, some want to pin their nationwide chicken franchise on the map. They embed some codes about the location of chicken shops on the open source of the google earth. We call it API, Appilcation Progamming Interface.

By using API, unskillful people also can make their own program after a little discipline. API change the world. It's a great tool to encourage people to express their creative thinking.

Here are two websites offering fancy goods for your blog:
widgetbox.com
widgetbank.daum.net
wzdfactory.com

We call the fancy goods widget or gadget. Based on the dictionary, a gadget means a small machine or device which does something useful. You sometimes refer to something as a gadget when you are suggesting that it is complicated and unnecessary. The definition of a widget is nothing different with that of a gadget.

People make a widget, and share it with many and unspecified persons for advertisement, volunteer, or even just fun. Besides, some groups use a widget for making money. I'm also adding some of those on my blog.

First enjoy it, sencond embed our creative thinking in a widget. Furthermore, it will spread around. Therefore, we can share our creative thinking.

Wednesday, August 26, 2009

Platform Thinking

I usually don't like a middleman, especially I hate a real estate broker. They are the typical example of becoming moral hazard easily in the information asymmetry.

I understand that the middleman has information capability connecting with both seller and buyer, besides they are important information hubs. However, they are impatient of sharing their data because they are afraid of losing their dominant position. That's reason why they're easy to fall into greed for dominating.

Their fears are groundless. The world is changing. Our problems is much more complicate and fussier than before. It's hard to solve those problems by one brain. According to Wikinomics, people would like to contribute to the community.
Collaborationism blow up now.

At this state, what the middleman should do? Should they adhere to the old way keeping barrier or change to open it?

Here is a good example, instead of answering. Innocentive.com connects companies, academic institutions, public sector and non-profit organizations, all hungry for breakthrough innovation, with a global network of more than 180,000 of the world's brightest minds on the world's first Open Innovation Marketplace.
That's the platform thinking. Innocentive read both opportunity and risk on open innovation marketplace. But, they succeed in their business model by enabling solvers to receive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financial awards for solving R&D challenges. It also works for ensuring organization sharing their difficult question to get a right answer. Innocentive satisfy both side with incentive and assurance.

Go back to the middleman problem. There are the billion of middleman on the whole kind of area. It means there are potential marketplaces if the middleman share their data to the public. Instead of commision, the middleman will get an advanced data from a bunch of traffic. The middleman can make higher value by processing the advanced data. I call it the value-up strategy.

Saturday, August 15, 2009

What Would Google Do?

If you have fun reading both below books: "The Long Tail" - Chris Anderson and Wikinomics- Don Tapscott and Anthony D. Williams, I highly recommend this book, "What Would Google Do(WWGD)" - Jeff Jarvis.

The book said that Google is the U.S. steel in our era.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U.S. steel have been a mother of value. Those days every companies made vehicles, arms, and infrastructures like buildings, harbors, and dams using steel U.S. steel produced.

However, from now on Google is a mother of value. Google isn't any more the world biggest internet search engine but the world biggest knowledge company. The more we google, the smarter google is. Not only mass company, but also mass of niches will effect others' life style. For example, facebook.com or twitter.com is built by mass of niches. Google help the mass of niches to do their business.

First of all, the book said what google rules.
RELATIONSHIP + PUBLICNESS + OPENNESS + PLATFORM WAY = GOOGLE

Second, the book guess what if google ruled the world.
What if people who working for Media, Advertising, Retail, Utilities, Manufacturing, Service, Money, Public welfare, and Public Institions thank google way? There would be some amasing compaies like the Google Times, Google Shop, GT&T, Googlemobile, Google air, Google Capital, Google Hospital, and Google U.

We don't need to be google, but we need to know how to make value through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