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psychonomics.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psychonomics. Show all posts

Sunday, July 25, 2010

프로이트의 의자에 누워 인셉션을 보다

   친구의 소개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이자 정신분석의인 정도언 교수의『프로이트의 의자』를 접했다. 그 친구는 한 동안 실연의 아픔으로 가슴앓이를 하던 중 이 책을 읽고 마음을 치유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용서란 내 상처의 원천이자 원한과 복수의 대상인 상대 자체를 버림으로써 나를 치유하는 과정이자 결과입니다." - 『프로이트의 의자』p.215 中
   이 글귀 한 구절이 그 친구가 그 동안 앓아오던 가슴 아픔을 눈물과 함께 치유해주었다고 한다. 평소에도 무의식에 대한 학문, 특히 프로이트학파의 꿈과 무의식에 대한 연구에 관심이 많았던지라 다음날 서점에서 구입해 읽게 되었다.

   『프로이트의 의자』는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기본이되는 이드-자아-초자아로 이루어진 구조이론(structural theory)과 리비도-타나토스로 구성되는 욕동의 원칙들에 대해 이해하기 쉬운 해설을 들려준다. 그리고 차분한 구어체로 진행되어 책을 읽는 동안 정신분석의에게 직접 이야기를 전해 듣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된다.

   정신분석학파의 창시자인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18세기 중엽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나 그 당시에는 용인될 수 없는 논문들을 발표하며 세인들의 관심을 받았다. 그로부터 100여년의 세월이 흘러 무의식의 중요함이 점점 인정받고 있는 시대가 되었다. 그 예로 2002년 노벨 경제학상은 행동경제학의 발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다니엘 카너먼 심리학 박사가 수상했다. 다니엘 카너먼 박사의 수상은 비 경제학 학위자에게 수여된 최초의 노벨 경제학상으로 역사적 의미가 있다. 이는 주류 경제학자들이 기대하지 않았던 비합리적인 결과들이 인간의 심리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인정하기 시작했다는 증거다.
   그리고 두번째 예로 2000년 이후에 발간된 책들 중 리처드 탈러의 『넛지』,말콤 글래드웰의『티핑포인트』와『블링크』, 샘 고슬링의 『스눕』, 그리고 히스 형제의 『스틱』과 같이 인간 심리에 기반한 경영서들이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국내에서는 김혜남의『서른살이 심리학에게 묻다』와 같이 국내 저자가 쓴 심리학 관련 책도 큰 인기를 끌었다. 이처럼 인간 심리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인간 심리의 근간이 되는 프로이트학파의 정신분석학에 대한 관심도 꾸준히 증가 하고 있다.



   최근에 국내에서 개봉과 동시에 빠르게 인기몰이에 나선 'Inception(인셉션)'도 꿈과 무의식의 세계를 다루는 액션영화이다. 다크나이트의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이란 거장의 손을 거쳐 탄생한 인셉션은 땅이 접히는 놀라운 영상미와 더불어 꿈에서 꿈을 꾸며 그 사이에서 인물간의 갈등을 그려내는 탄탄한 시나리오가 돋보인다. 더욱이 꿈을 뽑아내는 '추출자'에서 꿈을 심는 '인셉션'으로 이직을 하면서 이에 대한 계획을 세우던 중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기본이 되는 오이디푸스 증후군을 암시하는 말이 나온다.
임스 - "아버지와의 관계를 이용해" 
   이외에도 꿈 속에서 만들어지는 무의식의 세계를 완벽하게 재현하기 위해 사전에 치밀하게 주변조사를 하는 모습은 마치 프로이트의『꿈의 해석』을 전공한 학자들의 모임처럼 보인다.



   무의식의 세계를 다루는 영역이 정신분석학 뿐만아니라 경제, 경영, 리더십, 그리고 영화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인간이 2000년 동안 물 위에 솟은 빙산과 같은 마음을 다루어 왔다면, 앞으로의 2000년은 물 아래에 잠긴 커다란 얼음덩어리에 대한 연구를 통해 새로운 세계가 그려질 것으로 상상해본다.

Sunday, July 18, 2010

양창순 원장이 말하는 성공하는 리더의 마음경영, 나르시시즘의 이해

   지난 16일 호남지방부터 시작된 장마는 어느새 서울까지 올라왔다. 장대 같은 빗줄기가 쏟아지는 날이면 넓은 길도 활짝 펼친 우산들로 북새통을 이룬다. 이런 날 강남처럼 평소에도 인산인해를 이루는 길 위를 걷다보면 우산이 무색하게도 어깨위는 빗물로 다 젖게 된다. 그 중에 누군가는 우산을 높이 들거나 접으면서 상대방과의 불가피한 마찰을 피하려고 노력한다. 그렇다면 과연 이와 같은 사람들의 심리란 무엇일까?


   양창순 대인관계클리닉 원장의 YEHS 리더십 강좌가 역삼동 한국기술센터에서 열렸다. 양창순 원장은『내가 누구인지 말하는 것이 왜 두려운가』, 『인간관계에서 진실한 마음을 얻는 법』, 『나는 왜 사랑을 못하나』등 10여 권의 책을 펴냈다. 최근에는 기업 임원 및 CEO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 경험과 SERI CEO의 심리 클리닉, 강의 내용 등을 엮어『CEO, 마음을 읽다』는 책을 출간했다. 양창순 원장은
무엇이 세상과 사람을 움직이는가?
 라는 화두로 강의를 시작했다.

   작년에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한 기록한 MBC 선덕여왕의 미실은 "사람을 얻는 자가 천하를 얻고 시대의 주인이 된다"는 명대사를 남겼다. 이에 대해 양창순 원장은 "조직은 사람이 움직이고 사람은 심리가 움직인다"라고 말하며 심리학이 경영학의 가장 기본적인 학문이 되어야 함을 말했다.



  
   두 시간의 짧은 강의로 심리학의 모든 것을 설명할 수는 없지만 인간 심리의 원리가 되는 이것을 알면 심리학의 80% 이상은 이해 할 수 있다고 했다. 이것은 바로
나르시시즘
이다.
  
   나르시시즘이란, 자기애 혹은 자기사랑을 뜻하는 말로 이 세상에서 자신이 가장 중요한 존재이며 남들도 그렇게 자신을 가장 소중한 존재로서 인정해주고 대해 주기를 바라는 심리이다. 나르시시즘은 정도와 표현은 다르지만 누구나 가지고 있는 심리로 열등감도 나르시시즘의 다른 표현이다.

    Maslow 인간의 욕구체계를 살펴보면,

그림과 같이 인간의 욕구는 아래서부터
  • 의식주의 욕구
  • 안전의 욕구
  • 사랑과 인정의 욕구
  • 자기 실현화의 욕구
  • 영성의 욕구
로 이루어 지며, 각 욕구가 충족되면 상위 욕구 단계로 넘어간다.

과거와 비교해 풍족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다수의 사람들은 의식주와 안전의 욕구 단계를 지나 사랑과 인정의 욕구 단계 혹은 더 나아가 자기 실현화의 욕구 단계에 이르렀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인간 심리의 원리인 나르시시즘은 바로 사랑과 인정의 욕구에 연관된 심리다.

이처럼 인간 관계의 핵심 심리인 나르시시즘이 보상받지 못할 때, 인간은 수동 공격성을 띄게 된다. 
수동 공격성이란? 자신의 나르시시즘에 상처를 입힌 사람에게 느끼는 분노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나이가 들도록 결혼을 하지 않는 아들을 둔 어머니의 상담이 있었다. 어머니는 혹시나 아들이 동성연애자는 아닐까 걱정을 했다. 상담사는 아들과 대면후 아들이 결혼하지 않는 않는 이유를 알 수 있었다. 아들의 아버지는 자수성가한 사람으로 굉장히 카리스마가 넘치는 사람이었다. 아들은 성장과정에서 아버지가 지목해주신 대학과 학과를 졸업했다. 그리고 회사에 입사 후에도 아버지는 끊임없이 아들에게 성공의 목표를 지목해주었다. 그런 아버지가 너무나도 싫었던 아들은 누나의 자식, 즉 외손주를 안고 기뻐하는 아버지의 모습을 보고는 자신을 결코 아버지가 친손주를 안고 기뻐하는 모습을 절대 보여주지 않으리라 다짐 했다고 한다. 이처럼 아버지의 아들에 대한 과한 간섭은 아들의 나르시시즘에 상처를 입혔고 이는 결혼을 하지 않겠다는 수동 공격성으로 표출된 것이다.



나르시시즘의 중요성
프랑스와즈 돌토는

'우리의 행동 하나에도 언제나 수많은 복합적 동기가 작용하며 그 대부분은 나르시시즘에서 비롯된다'
라며 나르시시즘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을 설명했다.
   또한 제러미 리프킨은『소유의 종말』에서 '모호하고 다양하며, 권위를 우습게 여기고, 이데올로기나 진리나 철칙 대신 온갖 유형의 공연이 펼쳐지는 시대'인 새로운 시대의 도래를 예젼했다. 우리는 이미 이와 같은 시대를 살고 있으며 생존에 위협을 받을수록 본능이 강해지며 사회적 생존이 어려울수록 더욱 더 개인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즉, 현대 사회에서의 나르시시즘의 이해는 더욱더 중요해 지고 있다.

사회학 뿐만아니라 경영학에서도 나르시시즘은 현재와 미래의 생존전략으로 중요하다.

엘빈 토플러
"미래는 '개인의 시간(personal time)'이 지배하는 시간이다."


톰 피터스
 "한 개인이 한 군대인 시대, 총 천연색의 시대"






나르시시즘과 리더십

   그렇다면 왜 미래의 리더는 나르시시즘을 꼭 알아야 하는가? 이에 대한답은 나르시시즘의 나비효과에서 찾을 수 있다. 나비효과란 기상학자인 에드워드 로렌츠가 말한 용어로 '브라질에 있는 나비의 날개짓이 텍사스의 회오리바람을 일으킨다'는 것을 일컸는다.
  
   즉, 인간 심리의 핵심인 나르시시즘의 활용이 나비 날개의 펄럭임과 같다. 나르시시즘의 충족은 기적을 일으키는 반면, 나르시시즘의 상처는 파괴적 결과를 일으킨다. 복잡한 현대 사회 속에서 자신의 나르시시즘이 중요한 것처럼 상대방의 나르시시즘도 중요함을 인식해야 한다.
   올바른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나르시시즘을 만들어주고 복돋아줄주 알아야한다. 자신의 나르시시즘을 이해하고 배려해주는 리더를 위해서라면 전쟁터에서 자신의 목숨을 받쳐서까지 싸우게 된다는 오기열전의 이야기도 결국에 나르시시즘을 잘 이해한 경우라 할 수 있다.


   강의를 열중해서 듣다보니 양찬순 원장님께서 이번에 새롭게 출간한 『CEO, 마음을 읽다』책 선물을 받았다. 함께 강의를 들은 YEHS 회원들과의 가벼운 맥주를 뒤로하고 강남역을 빠져 나와 집으로 돌아가는 길은 장대비로 혼잡했다. 혼잡을 피하기 위해 살며시 우선을 높이 드는 사람들은 이미 상대방의 나르시시즘을 배려하는 미래의 리더가 아닌지 생각해본다.

Tuesday, February 02, 2010

스무 살이 듣는 서른 살의 이야기

21, 모양과 발음만으로도 충분히 아름다운 숫자라 생각한다. 21을 입어본지도 벌써 4년전, 어느새 스무 고개의 절반에 다달았다. 지금 이순간 잠시 멈추어 20부터 24까지 입어본 나이를 정리하고, 새로운 브랜드인 서른 살을 입기위해 앞으로의 5년을 계획하려한다.

지난 5년간은 이 십대 초반이라는 티셔츠에 대학생이라는 점퍼를 걸치고 다녔다.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계획을 세워 부지런히 달려 성취했던 점퍼라 의미있고 소중했다. 자신감은 성취감의 다른 표현이다. 넘치는 자신감으로 모든 일에 도전하며 부딪치는 것을 즐겼던 지난 날의 모습. 서투른 일들과 복잡한 관계 속에 실수 투성으로 해지고 얼룩진 옷. 빛 바랜 도전들로 윤기나는 그 가죽 점퍼를 이제는 벗어버렸다.

앞으로의 5년은 서른을 준비하고 인생의 꿈을 실현하기 위한 첫 발걸음이다. 서른을 입으면 꿈에 대한 열정뿐만 아니라 자기분야의 전문적인 능력으로 도전할 것들을 만들어가는 국가의 뜨거운 엔진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내가 상상하던 서른이다. 그래서 김혜남 정신분석의와 고민을 나누는 서른 살의 이야기를  엿들으며 그 실재는 어떤 모습인지 알게 되었다.

어느 서른 살이 김혜남 정신분석의에게 털어놓은 이야기는 이상과 현실이 교차하는 자리에 서있는 사람들의 삶과 일에 대한 일반적인 고민들이다. 서른 살 이전에는 고민해보지 못한 일과 인간관계, 사랑과 결혼 등의 현실적인 문제들 앞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방황하는 이 들에게  김혜남 정신분석의는 "당신은 옳다, 그러니 거침없이 세상으로 나아가라!"고 응원한다.
첫째, 이상에만 치우친 돈키호테의 꿈을 넘어서 현실적인 목표를 세울줄 아는 서른 살은 향상된 통합력으로 포괄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일을 추진 한다. 이들은 반드시 성공할 수 있다.

둘째, 사랑은 어느 때고 우리에게 찾아올 수 있다. 사랑을 모르고 나누었던 감정들을 종합하고 분석할 줄 아는 서른 살은 상대를 더욱 배려하고 뜨거운 사랑을 할 수 있다. 그러니 서른 살이 넘었다고 해서 사랑의 비관자가 될 이유는 전혀 없다.

셋째, 마음먹은 만큼 행복할 수 있는 서른 살은 더 이상 낀 세대가 아니다. 한 국가의 문화, 사회, 그리고 경제 등 전 분야에서 심장의 역할을 하고 있는 서른 살은 어린 시절 꿈꾸었던 꿈이 차츰 실현되어가는 모습을 보며 자기 계발을 넘어서 완성의 단계로 올라가는 길목에 있다. '시크릿'에서 론다 번이 말한 것 처럼 불행을 피하려만 하는 대신 행복을 절실히 원하면 행복은 오게 되어 있다.


술자리에서 듣게 되는 선배들의 이야기가 어느새 피부로 와닿기 시작한다는 것은 새로운 옷을 위해 준비를 해야한다는 신호이다. 작가는 서른 살을 위해 쓴 책이지만 스무 살에게도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관련글]

Sunday, August 23, 2009

Sigmund Freud

I read two books about psychoanalysis. One is a Korean version of the interpretation of dreams(꿈의 해석 in Korean), the masterpiece of Sigmund Freud, translated by Lee Hwan and the other is the conversation with Sigmund Freud(프로이트와의 대화) written by Lee Chang Jae.

Today, many of scientists and scholars acknowledge Freud's works and admire his effort. However his life didn't run in a groove when he conducted researches.

After looking through his story and recognizing his work, I think he is also one of the paradigm shifter like Galileo Galilei found the Copernican theory, Darwin found the evolution theory, and Einstein found the principle of relativity.

When he set up the psychoanalysis, the society couldn't admit his theory. Because of strong religious atmosphere and ethical custom, some of his theory couldn't be accepted. But he never frustrate. Rather, he keep working hard on his way, and finally he established the psycho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