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long tail.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long tail. Show all posts

Saturday, June 19, 2010

G9Languages.com 선현우 공동 대표를 만나다

3년전 안영일 선배(@DoerAhn)의 추천으로 선현우 대표(@ever4one)의 블로그를 처음 방문 후 공개 세미나 등에 참석하면서 선현우 대표를 직접 만날 수 있었다.


선현우 대표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를 몇 개만 나열해보면,
- 외국어 전문가(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중국어, 일어, 인도네이시아어)
- 2008 네이버 파워블로거
- 비보잉
- YouTube 파트너 채널
- 한국어와 한국 문화 알리기 대표 주자
- 블로그, 팟케스트,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전문가(2010년 국무총리실 트위터 강연)
- G9Languages 공동 대표
(자세한 약력 및 활동 상황은 이곳을 참조)

선현우 대표를 만날때 마다 꿈틀거리는 열정에 자극을 받다가 올해 1월부터 종로 5가에 위치한 G9Languages(지나인 랭귀지스, 이하 지나인) 사무실을 방문하며 동영상 편집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 방법 그리고 1인 창조기업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외국어 교육 및 한국어와 한국 문화 알리기에 대한 선현우 공동 대표의 열정을 블로그에 담고 싶어 지난 15일 쥐나인 사무실을 찾았다.


지나인은 김현정(@lanfeng3) 공동 대표, 최경은(@kyeongeun) 공동 대표, 진석진(@jinseokjin) 마케터와 함께 2009년 10월 설립했다. 지나인, G9은 '지구'를 의미하며 지구언어(G9Languages)를 통해 지구 상에 있는 모든 언어에 대한 장벽을 낮추어 인생이 재밌고 즐겁도록 도와주는데 큰 뜻이 있다. 마치 성경에 나오는 바벨탑 이야기가 생각난다.
지나인의 공동 창업자들은 지나인 설립 이전부터 랭귀지케스트를 통해 외국어 관련 온/오프라인을 진행해 왔다. 랭귀지캐스트는 내국인에게는 영어를 포함해 다양한 외국어 공부의 참 맛을 일깨워 주고, 외국인에게는 실질적인 한국어 공부를 제공함으로써 양측에 외국어 공부를 넘어 그 이상의 특별한 경험과 감동을 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가치들을 사업화하여 YouTube와 팟케스트를 통해 수 년간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알려왔던 선현우 공동 대표는 지나인을 통해 자신들만의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지나인은 온라인 웹 사이트 ‘TalktomeinKorean.com’과 ‘SendmetoKorea.com’을 통해 외국인들에게 한국어 및 한국문화를 알리는 사업과 내국인에게 영어, 일본어, 그리고 중국어 등 다양한 외국어를 오디오북과 팟케스트를 통해 쉽게 배울 수 있는 ‘기발한 공부가게’ 서비스를 판매하는 문화 컨텐츠 회사다.
지나인은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그리고 YouTube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매주 월요일과 금요일에 신촌 토즈에서 진행되는 ‘다개국어 스터디’를 통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사이의 수요를 교환을 시킨다.


최근에 쥐나인에서 제공하는 한국어 교육 사이트 TTMIK이 "Top 100 Language Blogs 2010"에서 전체 1위 사이트로 선정되었다. 본 컨테스트는 세계 곳곳에서 언어 관련 블로그 사이트를 대상으로 가장 우수한 100개의 블로그를 선발한다. 선정 과정은 2주간의 블로그 추천과 2주간의 공개 투표를 통해 진행된다. 공개 투표 결과 50% 반영 그리고 나머지 50%는 '내용의 우수성'  '꾸준함'  '사용 편의성과 커뮤니티 활성화 정도' 등의 기준을 통해서 점수를 매긴다. 그 결과 TTMIK은 언어 교육 부문에서 1위로 선정되었고, 언어 교육, 언어 학습, 언어 기술, 언어 전문가 부문을 모두 고려해 종합 1위로 선정이 되었다.
한국어는 영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중국어에 비해 사용자 수가 절대적으로 적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컨테스트에서 TTMIK이 종합 1위를 차지한 것이 얼마나 큰 의미를 갖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이는 TTMIK 서비스 출시 1년이 채 안되어서 이룬 성과라 앞으로의 발전이 기대된다.

선현우 공동 대표는 외국어 공부 자료 컨텐츠 개발 뿐만아니라 뜨거운 열정과 도전정신으로 강연 및 저술 활동을 통해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2, 3권의 책을 집필 중임으로 올해 안에 선현우 공동 대표의 책을 서점에서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인터뷰 방문때도 컨텐츠 개발로 바쁜 와중에 회의실에서 두 시간씩이나 이야기를 해주신 선현우 공동 대표님의 배려에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언제나 활짝 문을 열어 반겨주고 동영상 편집 및 1인 창조기업에 대해 가르쳐주시는 쥐나인의 모든 식구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선현우 공동 대표의 목표
"외국어를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외국어 공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더 많은 가치들에 대해 일깨워 주고 싶습니다. 쥐나인을 통해 언어를 배우고 새로운 친구를 사귀거나 여행을 함으로써 색다른 체험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생의 전환점을 찾았다는 사람들의 연락을 받으면 정말로 보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선현우 공동 대표가 추천하는 책

제프리 페퍼의 <생각의 속도로 실행하라>
그토록 많은 교육훈련, 경영컨설팅, 조직 연구관련 책과 논문들이 실제 관리 관행에는 별다른 변화를 일으키지 못하는 이유가 궁금한 적은 없었는가? 


티모시 페리스의 <4시간>
 도대체 무슨 수로 하루 14시간씩 일하고도 1년에 4만 달러밖에 못 받던 내가 일주일에 4시간 일하면서 한 달에 4만 달러를 벌게 되었을까?

Monday, March 22, 2010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노트

서커스의 많은 아슬아슬한 재주 중에 광대가 하늘 높이 공들을 던지고 받는 재주를 저글링이라 한다. 능숙한 광대는 수 십개의 공도 거뜬히 다루며 심지어 동시에 밥을 먹기도 한다. 저글링 잘하기의 키포인트는 공을 잘 받는 것이 아니라 처음에 공을 잘 던지는 것이다. 잘 던진 공은 제자리에 떨어지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광대는 차례 차례 공을 던지고 공이 손바닥위로 떨어지기를 기다린다.

이처럼 저글링 잘하는 비법은 동시에 여러가지 일을 하는 현대인에게 필수다. 역사에 가장 저글링을 잘한 사람은 아마도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가 아닐까 싶다. 그는 발명가, 기술자, 천문학자, 화가, 조각가, 해부학자 등 여러 방면에 끊임없는 호기심을 보였고 각 분야에서 큰 성과를 이루어 현대까지 많은 사람들이 그의 발자취를 연구한다.




 

레오나르도의 노트처럼 블로그에는 다양한 관심영역에 대한 메모가 적혀있다. 효율적 관리와 일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메모들을 분류하고 몇가지의 주제로 정리했다.

1. Bibliology/문헌정보학
2. Leadership/리더십
3. Long Tail/롱테일
4. Marketing/마케팅
  • 학업과 업무의 싱크로율 100% 달성
  • 웹상에서 정체성 통일(facebook, twitter, blog, YouTube, Skype)
  • Jihoon Roh 브랜드화
5. Storytelling/이야기꾼
[관련글]
120살까지의 인생설계

Tuesday, February 16, 2010

Pareto, Long Tail, and 1,000 True Fans

This article will be contributed to the 289th issue of 'POSTECH Times'.
You can download a PDF file of the full article here.


The Italian economist Vilfredo Pareto observed in 1906 that 80% of the land in Italy was owned by 20% of the population. According to the Pareto’s observation, Business management thinker Joseph M. Juran suggested the Pareto principle. The principle states that, for many events, roughly 80% of the effects come from 20 % of the causes. We are still living with the Pareto principle, or this phenomenon is going to have more polarized combined with technology and economic development. For instance, based on the World Bank’s statistic of 2008 gross domestic product (GDP), the summation of top-twenty countries’ GDP, $43.45 trillion, is over the 80 % of the total world GDP, $43.44 trillion.


As smaller percentage of organization causes more, the much larger percentage of organization begins to exist more. Chris Anderson, the editor of Wired Magazine, has studied into the polarization, and finally in 2006 published the book “The Long Tail: Why the Future of Business is Selling Less of More”. According to Wikipedia, The long tail is a retailing concept describing the niche strategy of selling a large number of unique items in relatively small quantities. When the costs of inventory storage and distribution fall, a wide range of products becomes available as well as the most popular products. For example, people generally would like to tour the world’s foremost places like Paris, Roma, and New York for holidays. However, the hidden places keep being discovered and well known as the brand-new visited spots as more the cost get cheap and more the tourists become sophisticated.



On the strength of the rapid rate, the openness, and the wireless of the internet, the long tail shows marked progress especially in the World Wide Web. In other words, some of the most successful internet businesses include eBay, Amazon, and iTunes Store have leveraged the long tail as part of their business. Those successful internet businesses design in common the place based on web as a platform for whipping of the long tail.



From now on, it’s plenty good enough possible that the single personnel can afford to unleash his or her own idea whenever and wherever. Also if the idea is remarkable, people are willing to sneeze it out for free. Furthermore, social networking service like facebook and twitter help the idea to spread out easily and make the buzzing. Therefore, even though the number of 1% is tiny quantity in the past, but today’s 1% is able to grow up as much as possible.
Kevin Kelly, the founding executive editor of Wired Magazine, said there is the break-even point for a lot of creators, such as individual artists, producers, and inventors, standing on one spot of the long tail. The break-even point is to find 1,000 True Fans. True fan is defined as someone who will purchase anything and everything you produce. For instance, they will drive 200 miles to join openings. They bookmark the eBay page where an out-of-print edition shows up. They can’t wait till the next work. They are true fans.
According to Seth Godin, the author of ten books including “Purple Cow”, one thousand true fans is enough to change the world. For example, 1,000 true fans each spending $1,000 on a special interest cruise equals a million dollars. 1,000 true fans willing to spend $250 to attend a day-long seminar gives the leverage to invite just about anyone you can imagine to fly in and speak.  1,000 true fans voting as a bloc can change local politics forever. Like Seth Godin mentions, organizing 1,000 true fans is better profitable than yelling at random strangers all day.


It has been more than 10 years since Tom Peters, management consultant, first issued the book “The Brand You 50”. Now we are living under the best of conditions for working with our own brand. One thousand is a feasible number. You could count to 1,000. If you added one fan a day, it would take only three years. And therefore if you have a stunning idea or project, feel free to release it and try to organize your 1,000 followers with useful networking tools. Finally, you will have power contributing effectively to the world.









Monday, January 18, 2010

The Age of Digital Warring States

Using the Prezi, I summarized about what I want to do.

Just click within the screen and advance to the next slide.
Also, you can understand it better with my speech. Here is my speech presented at LanguageCast MultiLingua on 22Jan.





If you want to listen other's speech at LC MultiLingua on 22 Jan, please click here.

[관련글] Prezi를 이용한 발표자료 :History of Behavioral Economics

Thursday, January 07, 2010

이제는 작은 것이 큰 것이다.

Seth Godin의 책 한권은 3학점짜리 마케팅 수업을 대신하고도 남는다. Seth는 Purple Cow를 만드는 세계적인 블로거다. 변화지향가이며 혁명가다. Seth의 블로그는 항상 Remarkable한 아이디어로 넘쳐난다. 나도 RSS 리더에 Seth의 블로그를 추가하고 즐겨 찾아본다. 하지만 매일 빠른 속도로 배달되는 놀라운 아이디어를 다 소화하지 못해서 항상 두통에 시달리고는 했다.
그런 참에 '이제는 작은 것이 큰 것이다(Small is the new Big)'라는 책은 많은 도움이 되었다. 이 책은 그 동안 Seth의 블로그에 올라온 글들 중 알짜배기만으로 구성되었다. Seth는 블로그를 방문하는 독자들 뿐만아니라 다른 모든이들에게도 빵빵 터지는 인생길을 제시하기 위해 이 책을 출간하게 되었다.

Seth는 그 동안 viral marketing 분야에서 Purple cow와 Remarkable로 많은 이들에게 '아하!'를 제공해 왔다. 이 책에서도 zoom, digerati, Flipping the Funnel 등 새로운 개념을 설명한다.

여러 개념들 중 한 가지 예로 '3 가지 블로그 구별법'이 있다.

1. Cat Blog
Cat Blog는 블로그를 만든 사람을 위한, 블로그를 만든 사람에 의한, 블로그를 만든 사람에 대한 블로그이다. 즉, 개인 일기장으로 사용되는 블로그를 말한다. 이런 블로그의 경우 대다수는 남들이 그것을 읽어 주길 바라지도 요구하지도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 Boss Blog
Boss Blog는 제한된 범위 안의 사람들끼리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블로그다. 주로 동료 혹은 특정 프로젝트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다. 즉, Boss Blog는 이미 독자가 누구인지 무엇을 원하는지 알고있는 경우다. 이 경우에는 좀 더 강력한 게시물을 실을 수 있다. 앞으로 진행할 혹은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대해 구체적이며 명확하게 설명한다. 지적이며 정확하게 쓰고 오해의 소지를 남기면 안된다.

3. Viral Blog
Viral Blog는 낯선 이들을 위한 글을 쓰는 곳이다. Viral Blogger는 Remarkable한 아이디어 공유나 의견 개진등을 통해 마케팅과 저널리즘, 아이디어 전파의 양상을 바꿔 놓았다.

Seth는 키보드에 손을 올려놓기 전에 누구에게 쓰는 글인지 생각해보라고 조언한다.

'이제는 작은 것이 큰 것이다'는 블로깅에 대한 최고의 교과서가 아닐까 싶다.
이 책을 현재 블로깅을 하거나 블로깅을 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관련글]
Be Guru? Be Guru!
Marketing Strategy keep Evolving

Saturday, September 19, 2009

Learning Korean

Sun, Hyunwoo is one of my awesome motivators. He runs some blogs and websites. Someday in 3 years ago, a senior recommended Hyunwoo's blog why-be-normal.com. Taking this opportunity, I began to keep watching him. When I first visited his blog, he had interesting about learning foreign languages like Japanese, Chinese, as well as English. He has bloged what he learn, how to learn foreign languages, and even how to live in web2.0 ecosystem. Now he is named as 2008 power blog by NAVER, the first search engine company in Korea. He started from scratch, but he achieves good. And he keep running to great.

Here is his self-introduction in youtube.


Also here is website's list run by Mr.Sun.
1. koreanclass101.com
Mr.Sun uploads podcasts of learning Korean as second language for foreigners. If you want to learn Korean daily, you need to subscribe his podcast.

2. sendmetokorea.com
Mr.Sun and his friends take and upload some photos on Korean streets. They don't try to disguise the street photos in fancy like a typical tour magazine. Instead, they show the real Korea.

3. languagecast.net
Mr.Sun makes multi languages group. They meet together every Friday's night at Sinchon and record their voice in multi languages.

Saturday, August 15, 2009

What Would Google Do?

If you have fun reading both below books: "The Long Tail" - Chris Anderson and Wikinomics- Don Tapscott and Anthony D. Williams, I highly recommend this book, "What Would Google Do(WWGD)" - Jeff Jarvis.

The book said that Google is the U.S. steel in our era.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U.S. steel have been a mother of value. Those days every companies made vehicles, arms, and infrastructures like buildings, harbors, and dams using steel U.S. steel produced.

However, from now on Google is a mother of value. Google isn't any more the world biggest internet search engine but the world biggest knowledge company. The more we google, the smarter google is. Not only mass company, but also mass of niches will effect others' life style. For example, facebook.com or twitter.com is built by mass of niches. Google help the mass of niches to do their business.

First of all, the book said what google rules.
RELATIONSHIP + PUBLICNESS + OPENNESS + PLATFORM WAY = GOOGLE

Second, the book guess what if google ruled the world.
What if people who working for Media, Advertising, Retail, Utilities, Manufacturing, Service, Money, Public welfare, and Public Institions thank google way? There would be some amasing compaies like the Google Times, Google Shop, GT&T, Googlemobile, Google air, Google Capital, Google Hospital, and Google U.

We don't need to be google, but we need to know how to make value through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