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thering pebbles is my hobby. Finders keepers, loosers weepers, And Others Sharers
Wednesday, December 30, 2009
VocA #1
I apply for some companies. To be applicant is not easy. I prepare to submit resume. Most people include me feel apprehensive as waiting the result of a job interview. I try to show my aptitude in the management area. The companies which I apply for are associated with government service area. They ask me if I'm bilingual. Also, they require applicants to have a broad knowledge of marketing strategies. They will select at least five candidates for final interviews. That's why I submit some professional certifications to prove my talent. The company suggests proper wages. Wages will be commensurate with experience and qualifications. First of all, I need to have confidence about myself. Some of management consultants have a master's degree or even more like doctor's degree. They are eligible for additional benefits. The company announced employment opportunities in its accounts department. Executive level staff are entitled to take paid holidays. Only 5 people got through the first round of interviews. Interviewers would like to pass only for highly qualified candidates. Employees with good records will receive wage increments as an incentive. Wage increases lag considerably behind current inflation rates. I'm seeking a managerial position in the accounting field. The candidate's qualifications match the job description. Applicants must meet all the requirements for the job. One of the requirements is a minimum of three years' experience. Journalism is an interesting and challenging occupation. There are job openings on marketing area. Applications must be turned in before the deadline. Otherwise, they won't be processed in time. Paychecks are mailed out each month. Fifteen new employees were added to the payroll last month. All new employees must sign up for the national pension plan. The company will offer contracts on completion of a probationary period. Compliance with the principles of professional ethics is mandatory. Additionally, proof of proficiency in a second language is very important requirement in international companies. They'd like to select prospective applicants and make them to be qualified employees. The firm recruits promising graduates on a yearly basis. Peter asked her ex-boss to write a reference for her. All applicants will be considered regardless of ages, gender, or race. Frequent travel is a requirement of the position. Fax your resume and cover letter to the above address. Uncertified workers earn lower wages than certified staff.
Wednesday, December 23, 2009
라면과 젓가락

하루는 큰 솥에 라면 4개를 팔팔 끓여서 점심을 준비하고 있었다. 요리가 끝나고 TV를 앞에 두고 테이블에 형, 엄마, 그리고 나 이렇게 셋이서 옹기종기 앉았다. 뜨거운 라면을 공격하기 위해서 3개의 무기가 준비 되었다. 두 개의 긴 플라스틱 젓가락과 한 개의 쇠 젓가락이다. 이 점을 특별하게 인식한 사람은 나 뿐인거 같다. 형과 엄마는 막 맛있게 라면을 후루룩 소리를 내며 먹기 시작했고, 나는 쇠 젓가락으로 라면 먹기에 아둥바둥 되며 막 불평을 토로하기 직전이었다. "아~! 쇠 젓가락 불편해!" 서툰 젓가락질을 연장에 심술부린 외마디가 끝나기를 기다린 듯이, 형과 엄마는 동시에 "이거써~" 하면서 사용하던 플라스틱 젓가락을 건내주었다.
음.. 왠지 모르겠지만, 난 그 순간 감동 받았다. 그냥 짠했다.
Saturday, December 12, 2009
Column#2 What's up, Jr.Nut?
Mr.Nut has been stuck into a college where is surrounded with paddy fields and dry fields for 4 years. Speaking to the college, let's take a break and look through his campus life. First, Mr.Nut goes to pool for morning exercise as soon as he opens up his eyes. And then, He checks up some headlines on today's newspapers during breakfast. After the fresh start, he attends some classes followed the fixed schedule. He usually has a very quick and small lunch as moving. Instead, He sometimes hangs out with friends and goes to a fabulous restaurant. Frankly, there are no places like the fabulous, but Mr.Nut and his friends consider it's fabulous if it's over $20 for a meal. That's only their pleasure. Then, he comes back and squeezes his ass on a chair at a laboratory or a library until midnight.
Mr.Nut isn't interested watching movies, playing video games, or gabbing with bear and smoke. He used to think that's wasting time.
During seasonal vacations, Mr.Nut takes a participation to the research project or the voluntary activities for rural communities.
Mr.Nut isn't interested watching movies, playing video games, or gabbing with bear and smoke. He used to think that's wasting time.
During seasonal vacations, Mr.Nut takes a participation to the research project or the voluntary activities for rural communities.
Friday, December 11, 2009
Column#1 Mr.Nut
Snobbery is a goddamn word of the year for Mr.Nut
Mr.Nut has not recognized that he has been such a snob.
From now on, he is a snob just like he was. To celebrate snob being, Mr.Nut takes out some stories. There are tragedy and comedy in stories like Charlie Chaplin's saying.
Mr.Nut was always staying around a safety zone. That's why he never felt to fall into big frustration in his entire life. He sometimes heard naive being from others. Literary, Mr.Nut was so simple-and-honest fellow of the old form.
He was kinda a student who believes, "Yesterday's nerd is today's Gates."
If you ask when his first kiss is, he is afraid to answer it JUST happened right after graduating NOT high school, BUT college.
Of course, Mr.Nut also had a couple of blind dates, to thank his friends. Every time he didn't fail to disappoint his followers. For instance, Mr.Nut asked a Dutch treat at the first round. Worse thing is he required exactly half-and-half pay calculating down to two decimal places(What a poor Mr.Nut!). Mr.Nut got lost and wasted a full hour under the winter rain looking for a freaking normal restaurant(What a poor Mr.Nut!!). After those shame, Mr.Nut was used to be alone again.
What if he learned from Sex and the City instead of quantum mechanics? If so, would it be going worse or worse worse? Anyway, Mr.Nut just walks into cruel love game without preparedness.
Mr.Nut has not recognized that he has been such a snob.
From now on, he is a snob just like he was. To celebrate snob being, Mr.Nut takes out some stories. There are tragedy and comedy in stories like Charlie Chaplin's saying.
Life is tragedy when seen in close-up, but comedy in long-shot.
Mr.Nut was always staying around a safety zone. That's why he never felt to fall into big frustration in his entire life. He sometimes heard naive being from others. Literary, Mr.Nut was so simple-and-honest fellow of the old form.
He was kinda a student who believes, "Yesterday's nerd is today's Gates."
If you ask when his first kiss is, he is afraid to answer it JUST happened right after graduating NOT high school, BUT college.
Of course, Mr.Nut also had a couple of blind dates, to thank his friends. Every time he didn't fail to disappoint his followers. For instance, Mr.Nut asked a Dutch treat at the first round. Worse thing is he required exactly half-and-half pay calculating down to two decimal places(What a poor Mr.Nut!). Mr.Nut got lost and wasted a full hour under the winter rain looking for a freaking normal restaurant(What a poor Mr.Nut!!). After those shame, Mr.Nut was used to be alone again.
What if he learned from Sex and the City instead of quantum mechanics? If so, would it be going worse or worse worse? Anyway, Mr.Nut just walks into cruel love game without preparedness.
Tuesday, December 01, 2009
Rilke, Letters To A Young Poet #7
오스트리아의 시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젋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글을 옮겨 적는다.
[사랑하는 것 또한 좋은 일입니다. 사랑 역시 어렵기 때문입니다. 사람과 사람이 서로 사랑한다는 것, 그것은 우리들에게 부과된 가장 어려운 일일지 모릅니다. 그것은 궁극적인 마지막 시련이고 시험이며 과제입니다. 그런 점에서 젊은 사람들은 아직 사랑할 능력이 없습니다. 사랑도 배워야 하니까요. 모든 노력을 기울여 고독하고 긴장하며 하늘을 향한 마음으로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사랑이란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승화되고 심화된 홀로됨입니다.
사랑이란 무턱대고 덤벼들어 헌신하여 다른 사람과 하나가 된다는 뜻은 아닙니다. 그도 그럴 것이, 아직 깨닫지 못한 사람과 미완성인 사람 그리고 무원칙한 사람과의 만남이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사랑이란 자기 내부의 그 어떤 세계를 다른 사람을 위해 만들어 가는 숭고한 계기입니다. 그리고 자기 자신을 보다 넓은 세계로 이끄는 용기입니다. 사람들은 오히려 그들의 결합을 행복이라 부르고 자신들의 미래라 부르기도 합니다. 그렇게 되면 각자는 다른 사람 때문에 자기 자신까지 잃게 되며, 상대방과 또 다른 사람까지 잃게 됩니다. 그리하여 남은 것이라고는 구역질과 실망, 빈곤 뿐입니다.]
I google about Rilke, and finally find the whole text of Letters To A Young Poet posted online. I copy and paste some sentences.
[It is also good to love: because love is difficult. For one human being to love another human being: that is perhaps the most difficult task that has been entrusted to us, the ultimate task, the final test and proof, the work for which all other work is merely preparation. That is why young people, who are beginners in everything, are not yet capable of love: it is something they must learn. With their whole being, with all their forces, gathered around their solitary, anxious, upward-beating heart, they must learn to love. But learning-time is always a long, secluded time, and therefore loving, for a long time ahead and far on into life, is: solitude, a heightened and deepened kind of aloneness for the person who loves.
Loving does not at first mean merging, surrendering, and uniting with another person (for what would a union be of two people who are unclarified, unfinished, and still incoherent?), it is a high inducement for the individual to ripen, to become something in himself, to become world, to become world in himself for the sake of another person; it is a great, demanding claim on him, something that chooses him and calls him to vast distances.]
Here is the whole text of the letter from R.M. Rilke.
[사랑하는 것 또한 좋은 일입니다. 사랑 역시 어렵기 때문입니다. 사람과 사람이 서로 사랑한다는 것, 그것은 우리들에게 부과된 가장 어려운 일일지 모릅니다. 그것은 궁극적인 마지막 시련이고 시험이며 과제입니다. 그런 점에서 젊은 사람들은 아직 사랑할 능력이 없습니다. 사랑도 배워야 하니까요. 모든 노력을 기울여 고독하고 긴장하며 하늘을 향한 마음으로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사랑이란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승화되고 심화된 홀로됨입니다.
사랑이란 무턱대고 덤벼들어 헌신하여 다른 사람과 하나가 된다는 뜻은 아닙니다. 그도 그럴 것이, 아직 깨닫지 못한 사람과 미완성인 사람 그리고 무원칙한 사람과의 만남이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사랑이란 자기 내부의 그 어떤 세계를 다른 사람을 위해 만들어 가는 숭고한 계기입니다. 그리고 자기 자신을 보다 넓은 세계로 이끄는 용기입니다. 사람들은 오히려 그들의 결합을 행복이라 부르고 자신들의 미래라 부르기도 합니다. 그렇게 되면 각자는 다른 사람 때문에 자기 자신까지 잃게 되며, 상대방과 또 다른 사람까지 잃게 됩니다. 그리하여 남은 것이라고는 구역질과 실망, 빈곤 뿐입니다.]
I google about Rilke, and finally find the whole text of Letters To A Young Poet posted online. I copy and paste some sentences.
[It is also good to love: because love is difficult. For one human being to love another human being: that is perhaps the most difficult task that has been entrusted to us, the ultimate task, the final test and proof, the work for which all other work is merely preparation. That is why young people, who are beginners in everything, are not yet capable of love: it is something they must learn. With their whole being, with all their forces, gathered around their solitary, anxious, upward-beating heart, they must learn to love. But learning-time is always a long, secluded time, and therefore loving, for a long time ahead and far on into life, is: solitude, a heightened and deepened kind of aloneness for the person who loves.
Loving does not at first mean merging, surrendering, and uniting with another person (for what would a union be of two people who are unclarified, unfinished, and still incoherent?), it is a high inducement for the individual to ripen, to become something in himself, to become world, to become world in himself for the sake of another person; it is a great, demanding claim on him, something that chooses him and calls him to vast distances.]
Here is the whole text of the letter from R.M. Rilke.
Monday, November 30, 2009
Never Die, the Young
I roughly translate some sentences of the book, 청춘불패.
A dream you cannot make comparing with your talent is a silly one.
There is high probability to become a debauchee if people hang around among silly dreams all the time. As I emphasize couple of times before, throw away almost every useless dreams during 20'something days.
Rather than, make a decision to devote yourself to only one dream. The dream would be well worth the effort of your whole life. The dream could make the whole people related with you being happy. If you can find the dream like this, your 20'something days should be highly appreciated.
Here is the original.
자신의 재능에 비추어 실현이 불가능한 꿈은 분명히 개꿈이다. 갈피를 못 잡고 허구헌 날 개꿈과 개꿈 사이를 오가는 사람들은 비교적 오래 백수로 살아야 할 확률이 높다.
거듭 말하거니와 이십대에는 가급적이면 잡다한 꿈들을 모두 버리고 오로지 한 가지 꿈에 순정을 바칠 결심을 하라. 평생을 바쳐도 아깝지 않은 꿈. 그대와 연관된 모든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드는 꿈, 그러한 꿈 하나를 찾을 수만 있다면 그대의 이십대는 그것으로 크나큰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There is high probability to become a debauchee if people hang around among silly dreams all the time. As I emphasize couple of times before, throw away almost every useless dreams during 20'something days.
Rather than, make a decision to devote yourself to only one dream. The dream would be well worth the effort of your whole life. The dream could make the whole people related with you being happy. If you can find the dream like this, your 20'something days should be highly appreciated.
Here is the original.
자신의 재능에 비추어 실현이 불가능한 꿈은 분명히 개꿈이다. 갈피를 못 잡고 허구헌 날 개꿈과 개꿈 사이를 오가는 사람들은 비교적 오래 백수로 살아야 할 확률이 높다.
거듭 말하거니와 이십대에는 가급적이면 잡다한 꿈들을 모두 버리고 오로지 한 가지 꿈에 순정을 바칠 결심을 하라. 평생을 바쳐도 아깝지 않은 꿈. 그대와 연관된 모든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드는 꿈, 그러한 꿈 하나를 찾을 수만 있다면 그대의 이십대는 그것으로 크나큰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Friday, November 06, 2009
우아함의 상실
지난 10월 29일 주한미국대사관 자료정보센터(IRC)/공보과에서 피아노 연주회가 있었다. 주한미국대사관은 세종로에 있지만 주한미국대사관 공보과는 남영동에 위치한다. 전화로 알아본 결과 용산 미군 부대와 붙어 있어서 근무를 마친 후 쉽게 찾아 갈 수 있었다.
이번 연주회는 한 종군기자의 희생을 기리며 전 세계의 평화를 위해 세계 곳곳에서 열리는 음악회의 하나라고 한다. 피아노 연주자는 Christopher Harding 미시간 음대 교수이다.
연주회 시작 전 다과회 때까지만 해도 무료한 하루 중에 좋은 음악을 듣고 집에 간다는 마음 가짐이었다. 하지만 소개를 받은 Harding 교수의 등장과 함께 나는 의자에 푹 눌러 앉은 내 자세를 고쳐야만 했다. Harding 교수는 피아노 연주와 함께 연주 속에 담긴 감정들에 대해 강의를 했다.
음악 강의는 중/고등 학교 때를 제외하면 전혀 없었다. 사실, 음악이란 취미를 묻는 질문에 답변하기 가장 좋은 것 중 하나일 뿐이었다. 이런 나를 제외하고는 다른 초청객들은 피아노를 좋아하는 모임 혹은 음대 학생들, 그리고 교육열에 불타는 엄마 손에 붙잡힌 아이들 이었다. Harding 교수는 피아노 연주를 한, 두 소절씩 하면서 이 음은 어떤 느낌을 들게 하는지, 무엇을 연상 시키는지 등을 묻고는 했다. 음악에 대한 무지함 때문에 완전 주눅들어 입을 꾹 닫고 있던 나도 교수의 설명과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듣다보니 어느새 그들을 공감할 수 있었다.
오스트리아의 모차르트의 음악 전반에는 우아함이 풍부한 반면, 미국의 folk music에는 fun 요소가 다분히 담겨 있다. 그리고 독일의 베토벤은 self-importance와 strength을 표현한다. 이 외에도 각국의 음악가들은 그들의 음악 속에 자국의 identity를 담고 있다. Harding 교수가 한국의 전통음악에도 조예가 깊었다면, 아리랑을 연주하고 '한(grudge)'에 대해 이야기했을 것이다.
교수가 오스트리아의 모차르트를 꺼내면서 현대 사회에서 우아함의 상실에 대해 잠깐 언급했다. 우아함? 가끔 앙 드레 김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는 그 Elegance 말이다.
한때 Elegance는 사치며 과시의 일종으로 여겨지던 때가 있었다. 요즘 같이 자신 만의 style이 중시되며 Edge와 Sexy가 공중파를 타며 우리의 눈을 현혹시키는 세상에서 Elegangce라니 조금은 역시대적 발상인가 싶기도 하다.
그러나 Elegance는 부잣집 마님의 사치스러운 모피코트에서만 나오는 것은 아니다. 우리네 삶에서 품위와 정중함 등에서 Elegance의 의미를 조명하고 싶다. 온라인 상에서 맺고 끊어지는 수많은 관계 속에서 Elegance를 구현하고 싶다.
Elegance를 사치의 하나로 바라보면 비용적 요소만을 고려한 것이다. 하지만, 소비자의 욕구 중 Elegance를 원하는 부분을 긁어주면 Elegance는 신 사업의 idea가 된다.
이번 연주회는 한 종군기자의 희생을 기리며 전 세계의 평화를 위해 세계 곳곳에서 열리는 음악회의 하나라고 한다. 피아노 연주자는 Christopher Harding 미시간 음대 교수이다.
연주회 시작 전 다과회 때까지만 해도 무료한 하루 중에 좋은 음악을 듣고 집에 간다는 마음 가짐이었다. 하지만 소개를 받은 Harding 교수의 등장과 함께 나는 의자에 푹 눌러 앉은 내 자세를 고쳐야만 했다. Harding 교수는 피아노 연주와 함께 연주 속에 담긴 감정들에 대해 강의를 했다.
음악 강의는 중/고등 학교 때를 제외하면 전혀 없었다. 사실, 음악이란 취미를 묻는 질문에 답변하기 가장 좋은 것 중 하나일 뿐이었다. 이런 나를 제외하고는 다른 초청객들은 피아노를 좋아하는 모임 혹은 음대 학생들, 그리고 교육열에 불타는 엄마 손에 붙잡힌 아이들 이었다. Harding 교수는 피아노 연주를 한, 두 소절씩 하면서 이 음은 어떤 느낌을 들게 하는지, 무엇을 연상 시키는지 등을 묻고는 했다. 음악에 대한 무지함 때문에 완전 주눅들어 입을 꾹 닫고 있던 나도 교수의 설명과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듣다보니 어느새 그들을 공감할 수 있었다.
오스트리아의 모차르트의 음악 전반에는 우아함이 풍부한 반면, 미국의 folk music에는 fun 요소가 다분히 담겨 있다. 그리고 독일의 베토벤은 self-importance와 strength을 표현한다. 이 외에도 각국의 음악가들은 그들의 음악 속에 자국의 identity를 담고 있다. Harding 교수가 한국의 전통음악에도 조예가 깊었다면, 아리랑을 연주하고 '한(grudge)'에 대해 이야기했을 것이다.
교수가 오스트리아의 모차르트를 꺼내면서 현대 사회에서 우아함의 상실에 대해 잠깐 언급했다. 우아함? 가끔 앙 드레 김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는 그 Elegance 말이다.
한때 Elegance는 사치며 과시의 일종으로 여겨지던 때가 있었다. 요즘 같이 자신 만의 style이 중시되며 Edge와 Sexy가 공중파를 타며 우리의 눈을 현혹시키는 세상에서 Elegangce라니 조금은 역시대적 발상인가 싶기도 하다.
그러나 Elegance는 부잣집 마님의 사치스러운 모피코트에서만 나오는 것은 아니다. 우리네 삶에서 품위와 정중함 등에서 Elegance의 의미를 조명하고 싶다. 온라인 상에서 맺고 끊어지는 수많은 관계 속에서 Elegance를 구현하고 싶다.
Elegance를 사치의 하나로 바라보면 비용적 요소만을 고려한 것이다. 하지만, 소비자의 욕구 중 Elegance를 원하는 부분을 긁어주면 Elegance는 신 사업의 idea가 된다.
Subscribe to:
Posts (Atom)